Til38 14Jan2020 TIL 오늘 한 일 : toy problem 12 _ powerSet() 글자열 글자 중복 제거 PowerSet()을 Javascript 로 구현하기 Powerset는 매개변수로 주어지는 string 또는 array의 요소를 조합하여, 모든 가능한 경우의 수 만큼의 글자 조합을 도출하는 역할을 한다. 나는 과제로 string 을 매개변수로 제공받았기 때문에, string 을 기본으로 하여 해당 함수를 구현했다. 언제나 그렇듯 나는 어렵고 복잡하게 해당 함수를 구현했는데, 사람들은 간단하게 해당 함수를 구현해낸다. 문제를 한 번 풀어보고 나선, 더 나은 알고리즘이 없을까? 하며, 다른 사람들의 코드를 보곤 하는데, 엄청난 고수의 느낌이 나는 간단하고 이해하기 쉬운 코드를 발견했다. 이머시브 코스가 끝날 즈음에 이.. 2020. 1. 14. 13Jan2020 TIL 상위 개체의 메소드를 불러오는 방법 : 상위개체.prototype.method.call(this, arguments) FlyingHorse.prototype.goSomewhere = function(destination, milesToDestination) { if (milesToDestination < 10) { return Horse.prototype.goSomewhere.call(this, destination); } else { return this.name + " is flying to " + destination + "!"; } }; 굳이 따로 지정해줄 필요는 없었다. 아래의 예제 처럼 (내가 쓴것^^!) var FlyingHorse = function(name, color) { Horse.c.. 2020. 1. 13. 10Jan2020 TIL 라이브러리란? 사용이 잦은 로직을 재활용하기 위해 class 혹은 function 으로 정의한 것을 의미. 다른 사람들이 만든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고, 직접 만들 수도 있다. Underbar Review _.map(collection, iterator) _.map = function(collection, iterator) { let arr =[]; for(let el of collection) { arr.push(iterator(el)); } return arr; } _.reduce(collection, iterator, accumulator) _.reduce = function(collection, iterator, accumulator) { if (Array.isArray(collection)).. 2020. 1. 11. 01Jan2020 TIL Today I learned : Find closest element event 위치가 랜덤으로 설정된 엘리먼트들 중 클릭한 타겟 엘리먼트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엘리먼트에게 새로운 이미지를 추가하는 이벤트를 구현하려고 한다. 과제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Pythagorean theorem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대각선의 길이가 가장 짧은 엘리먼트를 구하는 과정이 필요했다. 우선, 화면에 구현된 이벤트 타겟이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console.log(event.target)를 통해 살펴보았다. Span 이나 Div가 아닌 이미지가 찍혀서 해당 이미지의 style 을 살펴 보았더니 style 로 지정된게 없었다. 따라서 해당 이미지의 부모 엘리먼트를 살펴볼 필요가 있었다. 해당 부모 노트를 .. 2020. 1. 2. 30Dec2019 TIL Today I learned : bubble sort algorithm & Time complexity Bubble sort는 데이터를 규칙있게 배열하는 알고리즘의 한 방식이다. 지난 toy 문제 중 bubblesort 구현한 적이 있다. 함수 이름에 담긴 출제자의 의도와 다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했기 때문에, 이번엔 출제자의 의도에 맞게 bubblesort를 구현해보고자 한다. 더불어 bubble sort로 나열하게 될 경우 시간 복잡도는 어떻게 되는지도 살펴볼 예정이다. 나의 생각 우선, 출제자의 의도를 무시한 채, 배열의 엘리먼트를 오름차순으로 나열한 나의 코드는 다음과 같다. 배열 내 최소값을 찾고, 새 배열에 담은 후, 해당 엘리먼트는 삭제한다 -> 배열 내 최솟값을 찾고....(반복)하는 식으.. 2019. 12. 31. 29Dec2019 TIL Today I learned : toy 07 (Tree Depth-first Search Selection) toy 08 (Largest Product of Three) Tree Depth-first Search Selection 의 구현 Depth-first search (DFS) is an algorithm for traversing or searching tree or graph data structures. One starts at the root and explores as far as possible along each branch before backtracking. (출처 : 위키피디아) Tree.prototype.DFSelect = function (filter) {};구조로 되어 있다... 2019. 12. 29. 이전 1 2 3 4 5 6 7 다음